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12

경영권 분쟁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 주식시장을 보면 경영권 분쟁과 관련되면 주가가 상승하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 일반적인 비즈니스 관점에서 보면 '분쟁'이니까 기업에는 악재가 맞다. 구체적으로는 아래 이유 때문들이라고 볼 수 있다. 1. 약해진 경영: 경영진의 잘못된 결정으로 인해 경영권 분쟁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같은 결정은 기업의 수익성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2. 불확실성 증대: 경영권 분쟁은 기업의 불확실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는 투자자들이 회사의 미래가 불투명하다고 인식하게 해 주가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 3. 신뢰도 하락: 경영권 분쟁은 기업의 신뢰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이는 투자자들로 하여금 회사에 대한 신뢰를 잃게 하여 투자를 포기하게 하고 주가 하락을 초래할 수 있다. 4. 법적 비용: 경영 분쟁은 또한 .. 2023. 2. 11.
한국인들의 흔하게 하는 영어 문서 작성 또는 영문 이메일 실수 업무를 하다보면 외국 거래처와 영어 통화까진 아니여도 이메일을 해야되는 경우가 있다. 그럴 때 한국 사람들이 흔하게 하는 실수에 대해 몇 가지 작성해보았다. 1. 이메일에서 자기 이름을 소개할 때는 I'm John이나 I am John Kim 처럼 I am을 쓰면 틀린 표현은 아니지만 문서로 쓰기에는 조금 어색하다. 보통 문서의 경우 This is~ 나 My name is~를 쓴다. : This is John Kim. My name is John Kim. 2. 누군가를 처음 만나서 반갑다는 표현을 쓸 때 it was nice meeting you.를 많이 쓴다. 근데, meeting은 누군가를 처음 만났을 때 쓰는 것이고, 아는 사람을 만났을 때는 meeting 대신에 seeing을 써야 한다. : 처음.. 2023. 2. 6.
내돈내산 솔직 리뷰 1: KREAM 후기 (추천인 코드: 7DF6J7Y6) 오늘은 한정판 제품의 거래 사이트, KREAM(크림)을 직접 사용해보고(광고 아님), 시스템 및 사용 후기에 대해서 솔직하게 작성해보았다. 업데이트부터 판매까지 신규 사용자분들이 잘 사용할 수 있도록 최대한 자세하게 작성했다. 참고로 필자는 10만원대에 구매했던 신발을 50만원대에 팔아 5배 이상의 수익을 올렸다. 판매하는 방법과 무료로 포인트(제품 구매할 때 사용 가능) 얻는 방법, 어떤 식으로 활용하면 좋을 지도 있으니 꼭 끝까지 읽기 바란다. 오늘의 리뷰: KREAM (크림- 한정판 거래플랫폼) 예전에 미국에 있을 때 아이다스 한정판 이지부스트 500을 싸게 구매할 기회가 있어서 구매했었는데 한국으로 오면서 까먹고 있었다. 그러다가 집 정리를 하다가 우연히 발견하여 신을 생각은 없어서 팔 생각을 하.. 2023. 2. 4.
사이트의 기초, HTML과 Heading 태그의 필요성 1.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의 약자로 홈페이지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언어. HTML의 기본구조 : 브라우저에게 제공하는 정보로, 항상 문서의 제일 앞에 이 코드가 기술되어 있어야 하며, 이 문서는 html5 문법에 맞게 적용되었으니 html5의 문법을 적용해서 해석해주세요라는 말. : 문서의 시작과 끝을 표시하며, html 문서의 전체 구조를 파악가능하게 만든다. 로 같이 묶인다. : html 문서에 대한 정보를 기술하고, , , 등 해당 문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태그들이 기술될 수 있다. : 해당 html 문서에서 표시하려는 모든 내용은 사이에 기술된다. 위의 태그말고도 , , 등 쓰임에 따라 태그가 굉장히 많기 때문에 모두 나열할 수 없다. 목적에 따라 사용되.. 2021. 8. 22.
전환사채 전환사채는 주식하면서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개념이다. 특히 작전주들은 모두 전환사채를 이용하고 있고, 잘 모르면 굉장히 위험한 상황에 이룰 수도 있다. 개념을 간략히 정리하면 전환사채(CB: Convertible Bond) = 발행 회사의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사채 사채는 간단히 말하면 돈이 필요할 때 빌리는 빚으로, 회사가 발행 => 회사채(또는 사채) 국가가 발행 => 국채로 불린다. 여기서 전환사채는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사채'를 뜻한다. (개인이 특정 기업의 주식을 사는 행위를 투자라고 한다면 채권을 사는 행위는 회사에 돈을 빌려주는 것이라고 이해하면 편하다.) 즉, 채권을 주식으로 전환한다는 것은 돈을 현금으로 받는 대신에 주식으로 받는다고 생각하면 된다. 그렇다면, 전환사채에서 신경 .. 2021. 7.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