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식/주식개념17

경영권 분쟁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 주식시장을 보면 경영권 분쟁과 관련되면 주가가 상승하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 일반적인 비즈니스 관점에서 보면 '분쟁'이니까 기업에는 악재가 맞다. 구체적으로는 아래 이유 때문들이라고 볼 수 있다. 1. 약해진 경영: 경영진의 잘못된 결정으로 인해 경영권 분쟁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같은 결정은 기업의 수익성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2. 불확실성 증대: 경영권 분쟁은 기업의 불확실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는 투자자들이 회사의 미래가 불투명하다고 인식하게 해 주가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 3. 신뢰도 하락: 경영권 분쟁은 기업의 신뢰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이는 투자자들로 하여금 회사에 대한 신뢰를 잃게 하여 투자를 포기하게 하고 주가 하락을 초래할 수 있다. 4. 법적 비용: 경영 분쟁은 또한 .. 2023. 2. 11.
전환사채 전환사채는 주식하면서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개념이다. 특히 작전주들은 모두 전환사채를 이용하고 있고, 잘 모르면 굉장히 위험한 상황에 이룰 수도 있다. 개념을 간략히 정리하면 전환사채(CB: Convertible Bond) = 발행 회사의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사채 사채는 간단히 말하면 돈이 필요할 때 빌리는 빚으로, 회사가 발행 => 회사채(또는 사채) 국가가 발행 => 국채로 불린다. 여기서 전환사채는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사채'를 뜻한다. (개인이 특정 기업의 주식을 사는 행위를 투자라고 한다면 채권을 사는 행위는 회사에 돈을 빌려주는 것이라고 이해하면 편하다.) 즉, 채권을 주식으로 전환한다는 것은 돈을 현금으로 받는 대신에 주식으로 받는다고 생각하면 된다. 그렇다면, 전환사채에서 신경 .. 2021. 7. 9.
주식투자필수개념- 주가순자산비율 (PBR) 기업의 가치를 측정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대표적인 지표들 PER, PBR, PCR, PSR 중에 주가순자산비율, Price Book-value Ratio(PBR)에 대해서 정리해본다. PBR (Price Book-value Ratio): 주가순자산비율 대차대조표에 명시되어 있는 기업의 순자산(자산-부채=순자산)과 비교해서 현재 주가 수준이 어떤지 측정하는 지표로,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PBR = 주가 / 1주당 순자산 (순자산을 기업의 발행주식수로 나눠 1주당 순자산을 계산) 자산과 부채의 차액인 순자산을 발행주식수로 나누게 되면 이는 "이론적으로" 회계상 기업의 주가가 된다. 이익이 증가하는 기업은 내부유보에 의해 순자산이 증가하므로, 주가도 오르게 된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이는 회계정보로부터 .. 2020. 12. 19.
주식시장에서 발생하는 복리의 양면성 대부분의 사람들은 복리를 예금과 적금에서 배운다. 그렇기 때문에, 예금과 적금에서의 '복리의 힘'에 대해서 아주 잘 알고 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코로나가 발생하기 전까지만 해도 주식은 도박의 한 종류로 여겨지며 하는 사람만 하는 그런 종류의 투자였다. 그렇기 때문에, 주식 시장에서 발생하는 '복리의 힘'에 대해서는 간과하는 경우가 많다. 복리의 힘을 이해하는 것은 큰 이익을 가져다주는 것 말고도 생각보다 여러 방면에서 크고 작은 영향을 미친다. 예전부터 복리에 대해서 한 번 정리해보고 싶었는 데, 장기투자를 하면서 복리에 대해서 한 번 정리해보고 싶었기 때문에, 주식시장에서의 복리에 대해서 한 번 다뤄보고자 한다. 주식시장에서의 복리 주식은 일주일에 5 거래일이다. 즉, 복리가 하루하루가 조금씩 누적.. 2020. 12. 17.
랜덤워크가설 (Random Walk Theory) 주식시장과 퀀트분석에서 종종 활용되는 가설 중에 랜덤워크 (Random Walk Theory)에 대해서 얘기해보고자 한다. Random Walk Theory, 한국말로 직역하면 '무작위 행보 이론'이다. 가설 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주가는 '무작위 행보'를 따른다는 이론이다. 어떠한 정보 집합이 주어졌을 때나 주어지지 않았을 때나 수익률의 분포에 큰 차이가 없고, 주가는 과거와 상관없이 항상 불확실하게 움직인다는 게 메인 포인트이다. Random Walk Theory 랜덤워크 가설은 주가의 변동이 동일한 분포를 가지며 서로 독립적이라는 것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과거 주가에 대한 정보(과거 주가나 시장의 움직임, 추세 등)가 미래 가격 변동을 예측하는 데 이용될 수 없다고 가정한다. 이 말은 과거.. 2020. 12.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