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식/주식차트보조지표5

주식차트보조지표: 일목균형표 (Ichi Moku Kinkou Hyo) 일목균형표의 영어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일본인 일목산인이 개발한 지표로, 시간과 가격과의 관계를 독특하게 설명하는 유일한 동양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보조지표이다. 일목균형표의 개념 일목균형표의 이름은 시장의 '균형'을 '일목요연'하게 나타내는 '표'라는 뜻을 나타낸다. 즉, 시세의 움직임에 중점을 두었는데 일목산인은 매입세가 시장에서 우위를 나타내면 가격이 상승하고, 반대로 매도세가 시장에서 우세하다면 가격이 하락하는 시장의 원리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표로 만든 것이다. 일목균형표를 세부적으로 깊게 들어가면 가격론, 시간론, 파동론, 형보론 등 자세하게 나뉘지만, 여러 가지의 다른 기술적 지표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굳이 일목균형표의 모든 것을 세세히 알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 2021. 1. 10.
주식차트보조지표: OBV (On Balance Volume) 미국 과 '다우 지수'를 만든 찰수 다우는 "거래량은 주가에 선행한다."라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 거래량이란 개념을 이해한다면 주가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거래량을 단순히 거래량 차트로만 분석한다면 그 속에 숨어있는 진정한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기는 불가능하다. 이러한 거래량의 흐름을 분석하여 도움을 주는 보조 지표가 'OBV'이다. OBV는 거래량이 계산된 매집 여부를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도와주고, 이는 주가의 흐름을 분석하고 거래량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OBV (On Balance Volume) OBV는 On Balance Volume의 약자로, 누적 거래량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거래량 지표이다. 미국의 기술적 분석가인 조셉 그랜빌이라는 사람이.. 2020. 11. 21.
주식차트보조지표: 이격도 분석 이격도 분석의 정의 이격도란 당일의 주가를 설정한 이동평균치로 나눈 백분율 값으로, '주가가 이동평균값으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보통 20일 이동평균값을 기준으로 잡고, 이 값을 이격도에서 100%으로 기준을 잡습니다. 주가가 20일 이평선 값 이하로 떨어지면 주가가 20일 이평선 값과 에서 멀어진 만큼 이격도 수치가 떨어지고, 상승하면 상승한 만큼 수치가 오릅니다. 이해 가기 쉽게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삼성전자의 현재 주가가 10,000원, 20일 이동평균선 값이 10,000원이라면 이격도는 100을 가리킵니다. 삼성전자의 현재 주가가 9,000원, 20일 이평값이 그대로 10,000원이라면 이격도는 90을 가리킵니다. 삼성전자의 현재 주가가 11,000원, 20일 이평.. 2020. 8. 13.
주식차트보조지표: 거래량 지표 VR (Volume Ratio) 거래량 지표(이하 VR)는 사용자가 설정해둔 일정 기간 동안주가가 상승한 날의 거래량과 주가가 하락한 날의 거래량을 비교하여백분율로 나타낸 지표로서 현재 시장이 과열인지 침체인지를 판단하게 해주는 시장 특성 지표이다.  절대적인 수치를 나타내기보다는 거래량의 움직임에 중점을 두어 과거와의 비교 가능성을 높인 지표이다. 지표설정 일반적으로는 20일이 default 기간이고 (주식시장에서는 한 달을 20일로 잡는다.), 계산식은 아래와 같다.HTS나 MTS에서 다 계산해주기 때문에, 어떤 방식으로 계산되는 지 참고만 하면 될 것 같다. 계산식: {(주가상승일 거래량 합계+주가 보합일 거래량 합계*0.5) /(주가하락일 거래량 합계+주가 보합일 거래량 합계*0.5)} * 100 한 달의 거래일 중 주가가 상승.. 2020. 7. 1.
주식차트보조지표: 볼린저 밴드 (Bollinger Bands) 설정 먼저 볼린저 밴드를 포함하여 모든 주식차트 보조지표는 주가가 먼저 움직인 다음에 생성되는 후행성보조지표이기 때문에, 100% 맹신하는 건 무리가 있다는 점을 먼저 인지하고, 참고하는 정도로만 사용하는 것이 좋은 방안이 될 것이다. 볼린저 밴드는 1980년대 존 볼린저라는 사람이 개발하고, 2011년에 상표권 취득한 주가 기술적 분석 도구이다. 일단, 변수들을 설정하는 법부터 익혀보자. 이동평균(Period): 중간값을 어떤 이동평균선으로 할지 설정하는 것. 표준편차 승수 (Deviation): 중간값에서 편차를 얼마나 둘 지 설정하는 것. Default는 이동평균선은 20일 기준, 표준편차 승수는 2이다. 20일선을 기준으로 하는 이유는 보통 한 달에 주식이 개장하는 날이 보통 20일 정도 되기 때문에,.. 2020. 5.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