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인사이트

알트코인의 대장, 이더리움에 대해서

by EndlessPassion 2024. 3. 5.
반응형

비트코인이 전고점을 넘으면서 원화 기준 1억에 다가가고 있다. 이에 따라, 코인판이 이슈가 되면서 조금씩 개미들이 들어오고 있다. 아직 불장의 초입단계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이에 관련해서는 차후에 글을 작성하겠다.

이번 글에서는 코인판의 넘버원 비트코인이 아닌 코인판의 넘버투이자 시총 2위 알트코인의 대장, 이더리움에 대해서 작성해보고자 한다.

이더리움 로고


간략하게 이더리움에 대해서 설명해 보자면 비트코인이나
다른 코인과는 다르게 이더리움은 단순한 암호화폐 이상의 존재로, 그 이유는 명확한 창시자와 개발자가 존재하며 계속해서 업그레이드가 이루어지고 발전해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코인이라고 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실존하는 가치가 없는 도박으로 여기는 사람들도 많은 데 이는 잘 모르고 하는 소리이다 (물론, 외관만 코인인 그런 경우가 많긴 하지만, 이더리움은 명확히 다르다.) 탈중앙화된 애플리케이션(dApps) 개발을 위한 강력한 플랫폼이면서 금융, 게임, 예술, 정부, 그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제로 활용되고 있다.
아래에서 하나씩 자세하게 설명을 하겠다. 

글 순서는

1. 이더리움의 기본 개념

2. 이더리움의 장점

3. 이더리움의 미래

4. 참고 자료

순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1. 이더리움의 기본 개념

대표적인 핵심 기능들에 대해서는 스마트 계약 (Smart Contract), dApps (Decentralized Applications), ETH, DeFi, DAO, NFT가 있다.

-스마트 계약 (Smart Contract): 이더리움은 중개 없이 자동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코드 조약을 통해서 스마트 계약을 실행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조건을 충족할 때 자동으로 실행된다. 따라서, 이더리움을 사용하여 신뢰 구축 및 거래 비용 절감이 가능하며 부동산 거래, 보험 청구, 자동화된 금융 거래 등을 중개자 없이 처리할 수 있다. 

이해가 더 잘 되게 예시를 주자면, 음료 구매 원리를 이해하면 된다. 

우리가 음료를 구매하려면 보통 편의점에 방문하여 원하는 음료를 선택하고 직원에게 돈을 지불하는 게 음료 구매하는 방법이다. 즉, '원하는 음료수 선택 + 직원에게 접근 + 돈 = 음료수 수령'이다.

이 개념에다가 음료 자판기(스마트 계약) 개념을 넣어서 다시 만들어보자. 
 '돈 + 원하는 음료수 선택 = 음료수 수령'이 끝이다. 즉, 직원(중개인)이 없는 형태로 효율성, 비용 절감이 가능한 것이다.

많은 산업 분야에 적용을 한다면 중개자 비용을 대체할 수 있는 아주 좋은 기능이라고 볼 수 있다.

-분산 애플리케이션(Decentralized Applications): 분산 애플리케이션(DApp이라고 부름)은 위의 스마트 계약의 개념을 개발과 결합하여 분산된 네트워크에 구축된 애플리케이션이다. 조금 이해가 어려운데, DApp은 하나의 큰 서버, 중앙 서버 대신에 탈중앙 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실행되는데 중앙 서버가 없이 운영되기 때문에 검열이나 조작, 해킹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며 이는 데이터와 로직에 대한 투명성과 안전성의 보장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게임, 디지털 자산 거래소, 분산된 금융 서비스 등에서 활용될 수 있다. 

간단히 설명하면, 어떠한 한 곳에서 모든 것 통제하는 것이 아니라 분산돼서 원하는 서비스의 서버에서 활용할 수 있다고 보면 된다. 참고로, 이미 실제로 엄청나게 활용되고 있다. NFT가 한참 유행할 때 OpenSea라는 서비스도 유행했었는데 이 사이트 또한 이더리움을 활용하여 매매할 수 있다. 아래 사진은 이더리움을 이용 또는 활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들이다.

애플리케이션 종류

 

-ETH: ETH는 흔히 사람들이 얘기하는 암호화폐(코인)로서의 이더리움(Ethereum)의 약자이다. 미국 Dollar의 약자가 $이듯이 이더리움의 축약어가 ETH라고 이해하면 된다. '이더'라고 부르며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화폐이다. 일반적으로는 코인 매매할 때 사용되는 디지털 자산인 줄 아는데 이 이더는 스마트 계약 실행과 트랜잭션 처리에 필요하며, 네트워크의 보안 및 운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즉, 이 이더를 보유하고 있다는 것은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고 있다고 이해하면 된다. 달러를 가지고 있으면 미국에서 그 달러만큼의 원하는 것을 매매할 수 있는 것처럼, 이더리움이라는 생태계 플랫폼에서 가지고 있는 이더만큼의 원하는 것을 매매할 수 있다는 것이다.

-DAOs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s): 탈중앙화된 자율적인 조직을 뜻하며, 누군가의 통제나 지시가 아닌 자율적인 투표 또는 합의를 통해 운영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일반적인 기업에서 CEO, CFO 등이 규칙이나 법을 만들고 그것을 일방적으로 따르는 것이 아닌 코드에 포함된 블록체인의 규칙에 의해 조직이 운영되며 조직 내에 구성원들의 투표 및 합의를 통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성원들의 의견들을 반영하여 투명하게 운영할 수 있다. 진정한 민주주의라고 보면 된다. 

따라서, 자선단체, 투자금을 모으는 벤처 회사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NFT(Non-Fungible Tokens): NFT를 한번쯤은 들어봤을 용어인데, 정확한 정의는 개별적으로 고유한 토큰이라는 의미로 대체 불가능하여 희소성이 있는 존재라고 이해하면 된다. 따라서, 고유성이라는 개념이 중요하기 때문에 예술품, 수집품, 심지어 부동산과 같은 것의 토큰화를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서, 당신이 사진을 찍었다. 그 사진의 원본은 당신이 가지고 있지만 이 사진이 복사되어 퍼진다면 그 사진의 원본을 가지고 있는 저작권자가 누군 지 찾기가 힘들다. 이 개념에 NFT를 적용하면 당신이 찍은 원본 사진이 NFT가 되는 것이다. 스마트 계약으로 이 사진에 대한 소유권이 당신이 이라는 것이 확인, 증명이 되며 이 소유권은 누구나 확인할 수 있도록 블록체인에 저장되는 것이다.  따라서, 어떤 것을 '증명'해야 할 때 중요하게 활용할 수 있다. 


2. 이더리움의 장점

위에서 이더리움의 여러 개념에 대해서 설명했는 데, 공통되는 내용은 '탈중앙화, 보안, 투명성, 개방성, 다양성'이다. 즉,  '특별한 중앙기관 없이 운영되기 때문에 검열, 조작 등에 대한 강력한 저항성을 가지며 블록체인이라는 암호화 기술을 기반으로 아주 높은 수준의 보안성을 가지며 공개가 필요한 사항들에 대해서는 모든 내역을 공개하여 투명한 운영을 보장할 수 있다. 이러한 것들에 대해서 누구나 참여하고 개발이 가능하도록 개방성을 열어두었으며 개인들이 원하는 분야 (금융, 게임, 예술 등)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성'을 제공해 주는 것이 바로 이더리움이다.  

또한, 이더리움을 활용하여 '스테이킹'이라는 것도 가능하다. '스테이킹'이란 디지털 자산을 블록체인 검증에 활용하도록 맡기고 보상을 받는 것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간단히 말해 이는 마치 은행에 적금처럼 이더리움을 맡기면 연이율로 계산해서 이더리움을 주는 것이다. 스테이킹에 대해서도 차후에 다시 다루겠다. 

 

3. 이더리움의 미래

처음에 설명했듯이 이더리움은 명확한 창시자가 존재하며 개발팀과 함께 정기적으로, 꾸준히 업데이트를 하고 있다. ETH 2.0 업그레이드도 하였고 (확장성, 효율성, POS(Proof of Stake) 알고리즘 도입 등), 레이어 2 솔루션(거래 처리 속도 증가, 확장성 증가 등)도 이루었다. 이 외에도 새로운 dApps 개발, 메타버스, NFT 활용 등 무궁무진하다. 

또한, 2024년 3월 중순에 '이더리움 덴쿤 업데이트(수수료를 줄이는 업데이트)'라는 아주 중요하면서도 큰 업데이트를 할 예정이다. 비트코인에 이어 알트코인에서는 최초로 ETF 승인 심사도 기다리고 있는 중일 정도로 굉장히 이더리움 자체에도 중요한 시점이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다음에 또 자세하게 다루겠다.


코인에 대해서 잘 모르는 사람들도 이 글을 꼭 읽어봤으면 좋겠고, 코인판에 대해 눈을 떴으면 좋겠다. 
어느새 500만원을 돌파하고 있다. 외국 투자자들은 아직 멀었다고 하는 사람들도 많다. 

 

 

4. 참고자료

위에서 내가 설명한 내용들에 대해서 더욱더 궁금한 사람들을 위해서 참고자료들을 정리했으니 더 자세한 이해를 원하시는 분들은 꼭 한 번 봤으면 좋겠다.

-이더리움 공식 웹사이트: https://ethereum.org/ko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B%8D%94%EB%A6%AC%EC%9B%80
-블로그: https://blog.ethereum.org/ko
-커뮤니티: https://ethereum.org/ko/community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