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주식개념

미국의 3대 대표지수- 다우존스(Dow Jones), 나스닥(Nasdaq), S&P500

by EndlessPassion 2020. 5. 6.
반응형

 

흔히 뉴욕증시 3대 지수로 불리는, 미국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종합주가지수에는 3가지가 있다:

1) 다우존스 - Dow Jones, 2) 나스닥 - Nasdaq, 3) 에쓰엔피 - S&P 500

 

종합주가지수는 주식시장에서의 전체적인 주가의 흐름을 쉽게 파악하기 위해 지표로 만들어진 것이다.

대한민국은 대표 주가지수로 코스피(KOSPI)를 사용하고 있다. 

 

그렇다면, 왜 우리가 미국 주가지수에 대해서 주목해야 할까?

 

그 이유는 미국의 화폐인 달러는 전 세계 기축통화이고, 미국의 경제가 여러 나라의 종합주가지수에 크고 작은 영향들을 미치기 때문이다.

즉, 미국의 주가지수의 변화를 통해서 미국의 경제 상황을 파악하고, 더 나아가 글로벌 경제 상황을 파악하고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 예측할 수 있다.

 

 

 

1. 다우존스지수-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INDEXDJX: .DJI)

 

Dow Jones라는 회사에서 미국을 대표하는 우량주식 30개 종목의 시장 가격을 평균하여 산출하는 지수로, 미국의 증권시장 동향 및 시세를 알려주는 주가지수이다. 기존에는 12개의 종목이었지만, 편입종목이 30개로 늘어났다. 

 

사실, 다우지수는 장점보다 단점이 더 많다고 지적되고 있다. 먼저, 30개의 우량기업을 표본으로 시가총액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 주가의 평균값만을 계산하기 때문에, 시장 전체의 흐름을 반영한다고 하기에는 조금 무리가 있다.

또한, 우량 기업에 중점을 두기 때문에, 주가가 큰 회사의 추세에 따라 반영 여부가 결정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사용되는 이유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주가지수로, 과거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Investopedia에서 역사와 계산방법 등 더 자세한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2. 나스닥- Nasdaq index (INDEXNASDAQ: .IXIC)

 

나스닥은 증권거래소의 이름으로, 이 증권거래소에서 상장되는 모든 기업 종목을 대상으로 시가총액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해 산출되는 지수이다. 특히 미국 주식시장의 기술주 흐름을 파악하는 데 사용되는 대표적인 지수이다.

우리나라의 코스닥과 같은 장외시장으로, 벤처기업, 중소기업, 그리고 글로벌 IT 기업들까지 대략 3,000여 개의 기업들이 상장되어 있다. 

 

 

나스닥의 특이한 점은 중개인의 호가에 의한 매매가 아닌 컴퓨터에 의해 시세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다수의 매도호가와 매수호가가 있다면, 그 중 가장 낮은 매도 가격과 가장 높은 매수 가격을 컴퓨터가 자동적으로 결정하여 거래를 성사시킨다.

위에 언급한 다우존스 지수와 비교하여 상장종목 전체를 대상으로 지수가 산출되므로 주식 시장 전체의 흐름 파악이 보다 수월하다. 단점이라 한다면, 시가총액에 따른 주가지수이기 때문에, 애플이나 구글 같은 대형 IT 기업들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Investopedia에서 역사와 계산방법 등 더 자세한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3. 에쓰엔피- S&P 500

 

세계적인 신용평가기관인 미국의 Standard and Poor (S&P)에서 작성된 것으로,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미국 종합주가지수이다. 지수 산정에 포함되는 종목수는 500개로, 다우존스 지수에 사용되는 종목과 비슷한 우량기업주지만, 종목수를 비교하면 월등히 많다.

구체적인 산출방식은 비교시점의 주가에 상장주식수를 곱한 전체 시가총액과 기준시점의 시가총액을 대비하여 계산한다.

 

 

 

500여 개의 전종목을 대상으로 시가총액식 지수를 산출하기 때문에, 시장 전체의 증시 동향 파악에 용이하고, 시장구조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대로, 종목수가 많기 때문에, 실제 투자자가 느끼는 주가의 변동추이와 지수 움직임에서 큰 차이를 느낄 수 있다는 단점 또한 존재한다. 

 

Investopedia에서 계산방법 등 더 자세한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