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 종가, 고가, 저가, 호가, 동시호가:
시가: 주식시장이 9시에 개장할 때 주식의 시장가격 (오전 9시의 해당 주식의 시작 가격)
종가: 15시 30분 주식시장이 폐장하기 직전의 시장가격 (오후 3시 30분의 해당 주식의 종료 가격)
고가: 당일 주식 장이 열려있는 동안의 최고가에 매매된 가격
저가: 당일 주식 장이 열려있는 동안의 최저가에 매매된 가격
호가: 거래자들이 사거나 팔려고 부르는 가격
동시 호가: 마감시간 10분 전에 10분 동안 주식을 사거나, 팔 사람에게 사거나, 팔 가격을 적어내게 한 뒤 10분 동안 모든 가격을 신청받고 모두를 만족시킬 만한 적정한 가격을 산출해내는 것.
시가, 종가, 고가, 저가 중 가장 중점적으로 봐야 될 것을 뽑는다면, 단연 시가라고 볼 수 있다. 그 이유는 종가, 고가, 저가는 장 중 6시간 30분 동안 결정되지만, 시가는 장외 시간인 17시간 30분 동안의 가치를 반영하여 결정되기 때문이다. 전날 종가와 다음날 시가가 다른 경우가 있는 데, 이는 시간 외 거래라는 요소도 있지만, 보통의 경우는 예상 호가 때문이다. 예상 호가는 장이 열리기 직전 오전 8시 10분부터 9시까지 '미리 나는 이 가격에 매수를 하겠다'라고 걸어놓는 것이다. 시장가 매수 등을 수렴하여, 시초가가 결정 나게 된다. 즉, 장이 마감하고 난 뒤 다음 날 오전까지 어떤 좋은 이슈가 생기거나, 국내 증시 또는 해외증시가 좋으면 시초가가 조금 더 높게 형성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양봉, 음봉:
양봉: 주가가 시가보다 상승으로 마무리하는 것을 봉 형태로 만들어놓은 것 (종가 > 시가) 즉, 그 날 해당 종목의 가격이 상승했다는 것.
A: 고가, D: 저가, B: 종가, C: 시가
장대양봉: 양봉 몸통의 길이가 긴 형태, 즉 종가가 시가보다 크게 상승하여 끝날 경우 발생 (매수 에너지가 강한 상태를 의미).
음봉: 주가가 시가보다 하락으로 마무리하는 것을 봉 형태로 만들어놓은 것 (종가 < 시가) 즉, 그날 가격이 떨어졌다는 것
음봉에서는 B: 시가, C: 종가.
장대음봉: 음봉 몸통의 길이가 긴 형태, 즉 종가가 시가보다 크게 하락하여 끝날 경우 발생 (매도 에너지가 강한 상태를 의미).
'주식 > 주식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투자지표 필수개념- 주당순이익 (EPS) (0) | 2020.05.21 |
---|---|
의무보호예수란 무엇일까? (1) | 2020.05.18 |
주식투자지표 필수개념- PER (0) | 2020.05.08 |
미국의 3대 대표지수- 다우존스(Dow Jones), 나스닥(Nasdaq), S&P500 (0) | 2020.05.06 |
주식하면서 명심해야 할 4 가지 원칙 (0) | 2020.04.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