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식71 주식시장에서 발생하는 복리의 양면성 대부분의 사람들은 복리를 예금과 적금에서 배운다. 그렇기 때문에, 예금과 적금에서의 '복리의 힘'에 대해서 아주 잘 알고 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코로나가 발생하기 전까지만 해도 주식은 도박의 한 종류로 여겨지며 하는 사람만 하는 그런 종류의 투자였다. 그렇기 때문에, 주식 시장에서 발생하는 '복리의 힘'에 대해서는 간과하는 경우가 많다. 복리의 힘을 이해하는 것은 큰 이익을 가져다주는 것 말고도 생각보다 여러 방면에서 크고 작은 영향을 미친다. 예전부터 복리에 대해서 한 번 정리해보고 싶었는 데, 장기투자를 하면서 복리에 대해서 한 번 정리해보고 싶었기 때문에, 주식시장에서의 복리에 대해서 한 번 다뤄보고자 한다. 주식시장에서의 복리 주식은 일주일에 5 거래일이다. 즉, 복리가 하루하루가 조금씩 누적.. 2020. 12. 17. 미국주식어플 Robinhood(로빈후드) 장점, 단점 및 사용법 정리 현재 장기투자로는 미국 기업 주식들을 모아가고 있고, 단기투자로는 한국기업들을 매매하고 있다.미국에서 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도 나름 핫한 미국 어플 2 가지, Robinhood와 Webull가 있다사용자로서, 오늘은 Robinhood에 대한 설명과 장, 단점을 풀어보겠다 (Webull은 다음에) Robinhood (로빈후드) -장점: 어플이 아주 직관적이고, 디자인과 기능들이 심플하여 처음 사용하더라도 쉽게 배울 수 있다. 미래지향적인 디자인을 사용하여 세련되어 있고, 주식에 막 입문하는 사람들을 주로 타깃으로 하는 것 같은 느낌이라, 가이드가 상세하다. 로그인을 하면 아래 사진과 같이 목차가 뜬다. 여기서 Portfolio를 클릭하면, 내 계좌의 전체적인 흐름을 보여주는 그래프가 나온다 (아래 사진 참.. 2020. 12. 16. 랜덤워크가설 (Random Walk Theory) 주식시장과 퀀트분석에서 종종 활용되는 가설 중에 랜덤워크 (Random Walk Theory)에 대해서 얘기해보고자 한다. Random Walk Theory, 한국말로 직역하면 '무작위 행보 이론'이다. 가설 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주가는 '무작위 행보'를 따른다는 이론이다. 어떠한 정보 집합이 주어졌을 때나 주어지지 않았을 때나 수익률의 분포에 큰 차이가 없고, 주가는 과거와 상관없이 항상 불확실하게 움직인다는 게 메인 포인트이다. Random Walk Theory 랜덤워크 가설은 주가의 변동이 동일한 분포를 가지며 서로 독립적이라는 것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과거 주가에 대한 정보(과거 주가나 시장의 움직임, 추세 등)가 미래 가격 변동을 예측하는 데 이용될 수 없다고 가정한다. 이 말은 과거.. 2020. 12. 14. 로그차트(Log Chart)의 개념과 필요성 삼선 차트, 역시계 차트, P&F 차트 등등 기업을 분석하는 데 사용되는 차트의 종류는 굉장히 다양하다. 개인투자자들은 다양한 종류의 차트를 모두 알 필요도 사용할 필요도 없다. 하지만 꼭 알아야 할 두 차트가 있는 데, 바로 Linear Chart와 Log Chart이다. 1) Linear 차트와 Log 차트 MTS, HTS 등 대부분의 투자자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차트가 linear 형태의 차트이다. 양봉, 음봉의 길이는 단순히 그 날 상승하거나 하락한 금액이다. 이해하기 쉽게 예를 들어보자. A 종목이 12월 12일과 12월 13일 똑같이 30% 상승하였다. A 종목의 12월 12일 호가: 1,000원 (30% 상승) A 종목의 12월 13일 호가: 1,300원 (30% 상승) A 종목의 12월 .. 2020. 12. 13. 지놈앤컴퍼니 코스닥 이전 상장으로 보는 DSC인베스트먼트의 가치 현재 코넥스 시가총액 1위 기업인 지놈앤컴퍼니 (GENOME & COMPANY)가 12월에 코스닥으로 이전 상장이 가시화되고 있다. 먼저, 지놈앤컴퍼니에 대해서 간략히 알아보겠다. 기업소개 지놈앤컴퍼니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사업모델: 인체 마이크로바이옴(미생물+생태계)을 활용해 신약, 화장품, 건강기능 식품을 만들고 있는 신약 개발 전문 기업이며, 마이크로바이옴을 활용한 기술이전 또한 사업모델로 가지고 있다. 참고로, 마이크로바이옴은 인체에 서식하며 인간과 공생 관계를 유지하는 미생물의 집합체와 유전 정보를 뜻하며, 마이크로바이옴이 인간의 건강과 질병에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 결과가 잇따라 나와 업계에서 주목받고 있다고 한다. 핵심기술: 질환 내 특정환자 그룹에 유효한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후보물질.. 2020. 12. 9. 이전 1 ··· 3 4 5 6 7 8 9 ··· 1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