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인사이트

중국과 미국의 패권 전쟁으로 보는 희토류 시장 흐름

by EndlessPassion 2023. 4. 9.
반응형

최근에 미국의 조바이든 정부는 반도체, 대용량 베터리와 관련되 반도체법, 인플레이선 감축법(IRA) 등을 만들어 반도체, 베터리 등의 생산 시설을 미국으로 집중하고, 중국을 배제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이에 중국은 희토류 기술 수출 금지한다는 법안을 작년 12월 공개하였고, 올해 안에 확정할 예정이라고 한다. 

이런 행보를 보니까 중국이 굉장히 고민을 많이한 것 같다.

 

그 이유는 중국은 희토류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고성능 자석의 원료 채굴, 합금, 자석 제조 등 모든 공정을 자국 내에서 완성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 유일한 국가이기 때문이다. 사실 희토류라는 원자재는 우리나라에도 있을 정도로 흔한 광석인데 이 희토류를 채굴하는 데 유해물질이 많이 나와서 선진국들이 꺼려하고 있는데 중국은 워낙 땅덩이가 넓어서 이것을 해내면서 세계 시장점유율을 지배하고 있다. 중국이 제조 기술의 수출 금지를 사실상 결정한 희토류 자석은 전기차뿐 아니라 항공기·로봇·휴대전화·에어컨·무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며, 희토류의 일종인 네오디뮴 자석의 세계 시장점유율은 중국이 84%, 일본이 15%, 사마륨 코발트 자석은 중국이 90% 이상, 일본이 10% 이하로 엄청난 점유율을 가지고 있다. 

 

즉, 중국이 이 기술의 수출을 금지하면서 희토류를 이용해 만드는 고성능 자석 제조업체가 없는 미국·유럽 기업들의 신규 진입이 어려워져 대중 의존도가 높아지게 만들려고 하는 것이다. 

 

이 이슈는 4월 5일쯤 기사화하여 4월 6일 유니온, 유니온 머티리얼, 동국알앤에스 등 희토류 관련주들이 높은 시세를 보여줬다. 이 종목들은 희토류와 관련된 뉴스가 나오면 시세를 보여주는 테마주들이다. 다만, 요번에 핵심이 되는 건 희토류 그 자체보다 희토류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고성능 자석이다. 사실, 유니온이나 유니온 머티리얼은 중국이 수출금지하는 자석을 제조하는 업체가 아니라 이 자석을 대체할 수 있는 고성능 페라이트 마그네트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크게 연관은 없다.

 

그렇다면 이 고성능 자석과 연관이 된 기업은 어디일까?

바로 국내에서는 유일한 '성림첨단산업'이라는 기업이다. 

 

성림첨단산업은 어떤 기업일까? 영구자석, 전자석, 자석응용기기 제조 및 판매를 사업목적으로 하고 있는 기업이다.

 

성림첨단산업은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희토류 영구자석을 생산하는 업체이다. 자세한 설명은 2021.12.19일 기사를 읽어보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33520#home

 

‘희토류 독립’ 선봉장 성림첨단산업, 리쇼어링으로 탈중국 | 중앙일보

성림첨단산업은 중국 허난(河南)성에 공장이 있지만, 리쇼어링(생산시설 국내 복귀) 차원에서 대구에 공장을 짓기로 했다. 중국은 전 세계 희토류 생산의 95%를 차지하고, 영구자석 생산량도 일

www.joongang.co.kr

 

기사 내용 중에 눈에 띄는 것들은 이것인데

 

2021년 12월 기사이니까 광고성 기사인지, 실제로 전망이 있는 건지 성림첨단산업의 2021년과 2022년 손익계산서를 비교해보면 된다. 

매출액은 예측된 1200억원이 아닌 16000억원이나 된다. 

 

또한, 아래 Q&A에서 보듯이

현대, 기아 등 전동모터에 성림 영구자석이 들어가고, 물량을 댈 수가 없어서 수주를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한다. 

 

성림은 현대 뿐만 아니라 LG이노텍에서도 관심이 많이 있다.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11467 

 

LG이노텍 전기차 모터 공급망 파수꾼 가능성, 첨단자석 기술 주목

LG이노텍이 성림첨단산업과 함께 개발한 첨단자석 기술이 전기차 모터 공급망에서 중국의 희토류 무기화에 맞설 중요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비즈니스포스트]LG이노텍..

www.businesspost.co.kr

이와 같이 기업의 가치와 기술력은 충분히 확인된거 같다. 

 

 

성림첨단산업은 현재 상장되어 있는 기업이 아닌데 그렇다면 연관된 종목은 어떤것이 있을까?

내가 높게 평가하고 있는 종목은 현대비앤지스틸이라는 종목으로, 현대자동차그룹 계열의 스테인리스 냉연강판 제조업체이다.

 

그 이유는 현대비앤지스틸이 '성림첨단산업'이라는 업체의 지분을 33%나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가치분석은 했으니 현대비앤지스틸 기업의 차트를 보면서 기술적 분석을 해볼까 한다.

 

연봉: 2021년도에 엄청난 거래량이 터졌다.

 

 

일봉: 거의 박스권에 머물면서 바닥을 잡는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이평선들 또한 방향을 정하려고 모이다가 4월 6일 중국 관련된 기사가 나오면서 상한가를 쳤고, 하락추세에서 상승추세로 전환하려는 모습을 보여준다. 

 

전체적으로 차트를 봤을 때는 좋은 상황인데, 4/7일 매물을 소화하는 과정에서 세력이 노린 건지는 모르겠지만 단기과열종목 지정예고 공시가 떳다. 따라서, 10일동안은 희토류, 미중, 자석과 관련되어 강한 뉴스가 나오지 않는 이상은 조정이 올 확률이 있다. 

 

참고로, 필자는 4월 5일 이 종목을 매수하여 현재 계속 보유중인 상태이다. 

 

 

미국과 중국의 패권 전쟁은 하루이틀 끝날 이슈가 아니고, 둘 중 하나가 패권을 먹을 때까지 지속될 이슈이다. 이 과정에서 희토류 자석은 전기차, 베터리 등 미래지향적인 여러 산업에 핵심 부품으로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슈가 될 확률이 높다는 점에서 앞으로도 계속 주목할 필요가 있는 주제라서 한 번 자세하게 다뤄봤다. 아래 기사를 통해서도 한번 이해해 보면 좋을 것 같다. 

https://n.news.naver.com/article/277/0005242652

 

[테크토크]전기차는 배터리 싸움? …실은 '자석' 싸움

중국 정부가 희토류 '네오디뮴'의 제조 기술 수출을 제한하기로 하면서 전기차 업계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네오디뮴은 전기 모터의 핵심 부품인 '영구자석(Permanent Magnet·PM)' 원료로, 중국이 전체

n.news.naver.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