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식/주식매매일지22

7월과 8월 코스피, 코스닥 시황 코스피는 7월부터 조금씩 상승하면서 8월이 되자, 무차별 폭등이 시작되고 있다. 외국인들은 단타성 매매를 하고 있고, 개인들은 계속해서 자금을 투입하고 있다. 코스닥은 7월부터 무차별 폭등이 일어났지만, 오늘 거의 -3%까지 떨어지면서 간만에 조정이 발생하였다. 최근 시장 분위기를 보면, 시가총액 상위에 위치하고 있는 '대형주'에 굉장히 집중되고 있다. LG화학, 삼성바이오로직스, 현대차 등...... 위의 종합주가지수 차트에서 보듯이, 이전과 다르게 하락 없이, 그리고 굉장히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외국인과 기관들은 저가에 매수하여 상승을 유도하여 탈출하고, 개인들은 계속해서 상승된 종목을 사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어제, 오늘 장이 심상치 않아서, 하락종목들을 찾아봤다. 수젠텍 55,000원하.. 2020. 8. 12.
6월 코스피 시황 오랜만에 글을 쓰네요. 최근 한국 증시뿐만 아니라 미국 증시도 계속 박스권에서 횡보하면서 방향성을 못 정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박스권이란? 주가가 일정한 틀에 갇혀서 오르락내리락하는 형태를 뜻합니다.) 이 박스권 돌파에 영향을 미치는 모멘텀은 어떤 것이 있을까 생각을 해봤는데, 크게 2가지 요소에 따라 상승 또는 하락 여부를 결정할 것 같습니다. 1. 대북이슈의 문제 해결 현재 계속 북한이 도발하고 있죠. 북한이 이러는 이유는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김정은 신상에 어떠한 문제가 생겨 후임 계승하는 데 이미지를 만들려는 것 같네요. 후계자로 김여정(김정은 여동생)이 백두혈통으로 명목상 표면에 나올 확률이 매우 높아 보이고요. 김여정 체제로의 전환이 실패한다면 아마 중국식 개방으로 가겠죠. 문제는 미국이 .. 2020. 6. 23.
최근 주식시작 흐름에 대해서 많은 분들이 요새 주식 매매일지에 대해서 문의를 주시고 있습니다. 제가 요새 새로운 프로젝트에 들어가서 주식 매매일지를 매일 작성하지는 못하지만, 주식 매매는 틈나는 대로 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제가 생각하는 요즘 주식시장에 대한 흐름에 대해서 간략하게 얘기를 해보겠습니다. 요즘 들어 많은 개인 분들이 주식시장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또한 젊은 세대들이 많이 참여하고, 유튜브 등 정보매체의 발달로 인하여 어르신분들도 정보의 순환이 빨라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만큼 정보의 왜곡으로 인한 피해도 많이 생길 것이고요. 또한, 외국인은 연일 매도하고 있지만, 개인들은 연일 매수하고 있습니다. 저는 이것을 부정적인 신호로만 생각하지 않는 게, 많은 개인 분들이 주식과 우리나라 기업들에 대해서 더 공부할 .. 2020. 5. 18.
2020년 5월 8일- 주식매매일지 (대교, 대아티아이, 한네트, 노랑풍선, 티에스이, 나이벡, 케이사인, 아스타, 자비스, 컬러레이) 오늘 매매손익: + 94,818 오늘 미국 증시가 굉장히 좋았다. 나스닥은 9천이 돌파했었다. 미국 증시가 좋으니 당연히 코스피도 좋았다. 코스닥지수 거의 1950을 회복하였다. 오늘 또한 어제와 마찬가지로 스캘핑을 해서 종목이 조금 많다. -종목 피드백 1. 대교 5월 4일 재매수했던 대교가 4640 ~ 4660 사이에 계속 횡보를 하길래 매도했다가 다시 사려고 조금 팔았다. 다음 주쯤에 상승할 것 같은데, 추세적 하락으로 돌아서고 있어서 다음 주에 상승 못하면 손절할 계획이다. 2. 대아티아이 전형적인 세력이 조절하는 세력주라고 생각한다. 조금씩 상승세를 타고 있어서 일단 보유중이다. 3. 한네트 어제 스캘핑 하다가 물린 종목이다...... 적당한 시점에서 매도할 계획. 4. 노랑풍선 4월 29일 장.. 2020. 5. 9.
2020년 5월 7일- 주식매매일지 (대한항공, 파미셀, 한네트, 엘비세미콘, 하림, 더블유게임즈, 마니커에프앤지, 에스디생명공학) 오늘 매매손익: + 94, 236 오늘은 스켈핑을 조금 해보았다. 결과는 처참....... 주식은 공부를 하면 할수록 어려워지는 것 같다. 하림을 정리했고, 엘비세미콘을 일부 손절하였다. 대한항공은 대한항공우가 상승타서 타봤는데 욕심부리다 손절했다...... 절대 욕심부리지말고 이득일 때 파는 것을 명심하자. 2020. 5. 8.
반응형